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나는 꼼수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나는 꼼수다는 2011년 4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방송된 팟캐스트 방송이다. 김어준, 김용민, 정봉주, 주진우 등이 출연하여 이명박 대통령과 관련된 내용, 사회적 이슈 등을 다루었다. 2011년 11월에는 뉴욕타임즈에 보도되었으며, 아이튠즈 팟캐스트 인기 에피소드 1위를 차지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정부 개입 논란, 출연진의 발언, 비판적인 시각 등 논란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안언론 - 뉴스타파
    뉴스타파는 2011년 시작된 대한민국의 탐사보도 매체로서, 해직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사회적 이슈에 대한 심층 보도를 해왔으며, 국정원, 재벌, 경제 문제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며 관련 영화 제작 및 유튜브 채널 운영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대안언론 - 미디어협동조합 국민TV
    미디어협동조합 국민TV는 2012년 대선 이후 언론 보도 편향성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설립된 미디어 협동조합으로, 팟빵 앱 등을 통해 TV와 라디오 방송을 시청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사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하고 국민TV 홈페이지에서 방송 안내를 확인할 수 있다.
  • 정치 팟캐스트 - 나는 꼽사리다
    나는 꼽사리다는 김미화, 선대인, 우석훈, 김용민이 진행한 시사 팟캐스트로, 여러 분야 게스트를 초청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이슈를 논의했으며, 특히 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는 유력 후보들을 초청하여 정책 토크를 진행했다.
  • 정치 팟캐스트 - 김어준의 Papa is
    김어준의 Papa is는 김어준이 진행한 인터넷 방송으로, 국정원, 서울시 공무원 간첩증거조작 사건, 세월호 침몰 사고 등 사회적 이슈를 심층적으로 다루며 정부 발표에 대한 의혹 제기 및 다양한 시각을 제시했다.
  • 나는 꼼수다 - 정봉주
    정봉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방송인으로,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BBK 주가 조작 사건 연루 의혹 제기로 'BBK 저격수'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수감 및 특별사면 후 팟캐스트와 방송 활동을 했으나 성추행 의혹으로 정계 은퇴 후 복귀하여 열린민주당 창당에 참여했다.
  • 나는 꼼수다 - 주진우 (언론인)
    주진우는 탐사 보도와 시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으로, 시사IN 기자, 《나는 꼼수다》 출연,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진행, 라디오 진행, 영화 제작 참여 등의 경력이 있다.
나는 꼼수다
기본 정보
나는 꼼수다
진행김어준
정봉주
주진우
김용민
방송사딴지일보
장르정치
언어한국어
방송 시작2011년 4월 27일
방송 종료2012년 12월 18일
업데이트 주기주간 업데이트
관련 정보
관련 웹사이트김어준의 파파이스#125

2. 출연진

3. 방송 정보

2011년 4월 18일 첫 방송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마포 FM 스튜디오를 임대하여 녹음했으나,[18] 이후 지방 공연장 근처나 2012년 4월 대학로에 문을 연 딴지일보 사무실 겸 카페인 BUNKER 1(벙커 1) 내 스튜디오에서 녹음을 진행했다. 당초 이명박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2013년 2월까지만 방송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그 이유로 ‘감옥에서는 스마트폰을 쓸 수 없기 때문’이라고 농담처럼 언급하기도 했다.[19]

방송의 주요 소재는 이명박 대통령과 그 주변 인물들에 대한 비판이었지만, 다양한 사회적 이슈도 다루었다. 고정 출연진 외에 간헐적으로 게스트가 출연하기도 했는데, 18회에는 박경철 병원장, 23회에는 당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대표였던 홍준표[22], 26회에는 김용옥 교수 등이 출연했다.[23]

정봉주 전 의원이 BBK 주가 조작 사건 관련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구속 수감되면서, 33회 방송은 그의 석방 시까지 무기한 연기되었고, 이후 '봉주 n회'라는 이름으로 방송을 이어갔다. 이와 함께 방송 슬로건도 기존의 '가카 헌정 방송'에서 'BBK 실소유주 헌정 방송'으로 변경했다.[24][25]

나는 꼼수다는 제18대 대통령 선거 하루 전인 2012년 12월 18일, '마지막회'라는 이름의 33번째 정규 방송을 끝으로 종영했다. 이후 2013년 7월 19일, 김용민 PD는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과 관련하여 2013년 7월 27일 서울광장에서 열리는 촛불집회에 10만 명 이상이 참여하면 방송을 재개하겠다고 밝혔으나, 주최 측 추산 2만 5천여 명이 참여하여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재개가 무산되었다.

종영 후 멤버들은 각자의 길을 걸었다. 김어준은 한겨레TV와 함께 김어준의 Papa is를 시작했고, 김용민 PD는 국민TV에서 활동했으며, 정봉주 전 의원은 정봉주의 전국구라는 팟캐스트를 개설했다. 이로 인해 주요 멤버 셋이 다시 함께 활동하는 모습을 보기는 어려워졌다.

3. 1. 재정 문제

나꼼수는 방송 제작 비용 자체보다 청취자 급증에 따른 서버 유지 및 관리 비용이 훨씬 더 많이 드는 구조였다. 김어준 총수는 2011년 10월 한 달 서버 비용만 2860만에 달한다고 밝혔으며, 2011년 11월 23일 방송된 29회에서는 서버 비용 내역을 공개하기도 했다.

4. 회차 정보

2011년 4월 18일 첫 방송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마포 FM 스튜디오를 빌려 사용했으나,[18] 이후에는 지방 공연장 근처나 2012년 4월에 문을 연 나꼼수 카페이자 딴지일보 사무실인 대학로 BUNKER 1(벙커 1) 내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2013년 2월까지만 방송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그 이유로는 ‘감옥에서는 스마트폰을 쓸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19]

나는 꼼수다는 방송 제작 비용보다 서버 유지 비용이 훨씬 많이 드는 구조였다.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는 2011년 10월 서버 비용이 2860만에 달했으며, 모든 트래픽을 감당하려면 순수 서버 비용만 억대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20] 서버 부담이 커지면서 재정 문제도 심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21]

방송의 주요 소재는 이명박 대통령과 그 주변 인물들이었지만, 사회적 이슈도 자주 다루었다. 고정 출연진 외에 게스트가 출연하기도 했는데, 18회에는 박경철 병원장, 23회에는 홍준표 당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대표[22], 26회에는 김용옥 교수 등이 출연했다.[23]

정봉주 전 의원이 구속 수감되면서 33회 방송은 그의 석방 시까지 무기한 연기되었고, 대신 '봉주 n회' 형식으로 방송을 이어갔다. 이 시기 슬로건도 '가카 헌정 방송'에서 'BBK 실소유주 헌정 방송'으로 변경했다.[24][25]

이후 18대 대선 하루 전인 2012년 12월 18일, '마지막회'라는 이름으로 33번째 회차를 내보내며 종영했다. 그러나 2013년 7월 19일, 김용민 PD는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과 관련하여 2013년 7월 27일 서울광장 촛불집회에 10만 명 이상이 참여하면 방송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주최 측 추산 2만 5천 명이 참여하여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종영 후 김어준은 한겨레TV와 함께 김어준의 Papa is를 시작했고, 김용민 PD는 국민TV에서 활동했으며, 정봉주 전 의원은 정봉주의 전국구라는 팟캐스트를 만들었다. 이로 인해 주요 멤버들이 다시 함께 활동하는 모습을 보기는 어려워졌다.

4. 1. 2011년

wikitext

회차업로드 일자제목내용게스트
1회4월 27일BBK 주가 조작 사건 총정리|
2회5월 4일4.27 재보선 이후|
3회5월 11일BBK 140억|
4회5월 18일남북회담과 부산저축은행|
5회5월 25일중수부 폐지|
6회6월 1일반값 등록금고성국
7회6월 8일오세훈 무상급식 주민투표|
8회6월 15일청계재단과 에리카 김주진우
9회6월 22일서래마을, 알펜시아, 인천공항|
10회6월 29일파리의 나비부인, 오세훈 대선 프로젝트|
11회7월 6일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
12회7월 13일딴지일보 해킹, 장자연 사건 (상)|
13회7월 20일장자연 사건 (하), 인천공항 매각|
14회7월 27일정봉주 대법원 공판, 댓글부대, 자원외교|
15회8월 3일영포빌딩 개고기집, 오세훈 꼼수, 큰 목사님|
호외8월 24일오세훈 시장 사퇴|
16회8월 31일오세훈 사퇴, 딴지 해킹, 목사님|
17회9월 7일곽노현 10.26 사건|
18회9월 14일위키리크스 BBK, 곽노현 구속, 안철수-박원순박경철
19회9월 21일위키리크스와 MB, 방통심의위|
20회9월 28일왕재산 간첩단, 삼화저축은행|
21회10월 5일박영선-박원순 아바타 토론회박영선, 박원순
22회10월 12일내곡동 사저, 박태규 배후|
23회10월 19일홍준표 대표 초청 토론회홍준표
24회10월 25일MB 미국 방문, 나경원 홍신학원|
25회10월 26일서울시장 야권 통합, 나경원 남편 기소 청탁문재인, 박지원, 이정희
26회11월 2일10.26 재보선 회고, 디도스, 도올도올 김용옥
27회11월 9일정봉주 여권, 서울시장 떨거지 관전토론회유시민, 심상정, 노회찬
28회11월 16일MB 연설문 로비, 한미 FTA, 강용석|
29회11월 23일중앙일보 김어준 기사, 한미 FTA, 인천공항 매각|
30회11월 30일조선일보 취재 행태, 한미 FTA 비준, 선관위 로그 파일, 론스타|
31회12월 7일검경수사권 조정, 종로경찰서장 폭행, 선관위 디도스, 하나금융|
32회12월 14일미주 귀국 보고, 선관위 사태|
호외212월 22일BBK 판결 관련 정리|
특별공지12월 23일정봉주 송별회 예고|
호외312월 26일정봉주 징역 1년 확정|


4. 2. 2012년

정봉주 의원이 구속 수감되면서 33회는 석방될 때까지 무기한 연기하고, 봉주 n회로 방송했다. 그리고, 슬로건을 기존에 사용했던 '가카 헌정 방송'에서 'BBK 실소유주 헌정 방송'으로 바꾸었다.[24][25]

5. 논란

`나는 꼼수다`는 방송 내용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이명박 정부의 방송 개입 의혹 등이 제기되었다.

5. 1. 정부 개입 논란

《나는 꼼수다》는 방송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심사 기준법 제정을 통해 《나는 꼼수다》를 제거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고 주장했다. 방송에 출연했던 정봉주17대 국회의원은 “최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앱 심의 안을 내놓자마자, 대한민국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장이 스마트폰 앱을 심의하겠다고 하고 전담팀을 만들겠다고 했다”면서 “방통심의위원회에서 앱을 심의하겠다는 것은 ‘나는 꼼수다’를 겨냥한 진정한 꼼수”라고 주장했다.[30] 주진우 시사인 기자도 “사실은 이 방송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동안 ‘음란물’ 심의를 하겠다는 이유 등으로 ‘꼼수다’를 제거하려는 여러 책동들이 보이기도 했다”라고 덧붙였다.[31] 이와 관련하여 2011년 10월 20일, 방통위 조직개편안이 확정되어 12월부터 앱 심의를 진행할 예정이었다.[32]

또한 이명박 정부 하의 대한민국 국군은 스마트폰에 "비판적 앱"을 설치한 군인들을 단속했으며, 해당 앱 목록에 《나는 꼼수다》가 반정부 콘텐츠로 분류된 것으로 알려졌다.[10][11]

6. 평가

2011년 11월 1일, 뉴욕 타임스의 국제판인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헤드라인 기사를 통해 나꼼수를 통치자에 대한 풍자를 통해 젊은 세대의 불만을 표출하는 창구 역할을 하는 토크쇼로 소개했다.[35] 같은 해 11월 22일, 카타르알자지라 방송은 대한민국의 정치 상황을 분석하며 나꼼수를 주요 사례로 다루기도 했다.[36]

6. 1. 긍정적 평가


  • 2011년 8월 23일, <2011년 8월 22일 호외 편>은 미국 아이튠즈 팟캐스트 인기 에피소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팟캐스트가 등록되는 미국 시장에서의 1위로, 사실상 세계 1위를 기록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당시 미국 팟캐스트 에피소드 순위 200위 안에 한국어 팟캐스트는 <나꼼수 호외 편>이 유일했다.[37][38] 이 소식은 2011년 8월 25일 손석희의 시선집중을 통해 지상파 방송 최초로 집중 보도되기도 했다.[39] 나꼼수는 2012년 4월 25일에도 아이튠즈 팟캐스트 오디오 부문 인기 순위에서 세계 1위를 기록했다.[40][41]

  • 2011년 12월 1일, MBN이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에 의뢰하여 전국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언론 신뢰도 조사에서 나꼼수는 40%의 신뢰도를 얻었다. 이는 대표적인 보수 언론으로 꼽히는 조중동의 신뢰도 17.2%를 두 배 이상 앞서는 수치였다.[42][43]

  •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와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가 일반인과 언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나꼼수에 대해 부정적인 응답보다 긍정적인 응답을 더 많이 했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호응도가 높게 나타나, 20대는 59.1%가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긍정 평가 비율이 15.8%에 그쳤다.[44]

  • 한국일보가 나꼼수 방송 1주년을 맞아 실시한 온라인 여론조사(응답자 1,328명)에서는 85.1%가 나꼼수를 듣는 이유로 '기존 언론이 전하지 않는 부분을 보도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는 청취자들이 나꼼수를 기존 언론의 빈틈을 메우는 대안 언론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일보 기자들이 진행하는 팟캐스트 시사난타H에서도 2012년 4월 20일 '나꼼수 1년'을 주제로 다루었다.[45]

  • 언론학자인 마동훈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는 나꼼수를 대안 미디어라고 평가했다. 그는 "대안 언론으로 볼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선동에 활용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며, 나꼼수가 정치·사회 문제를 다루지만 엄밀한 의미의 언론보다는 대안 미디어로 보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분석했다.[45]

  • 나꼼수는 기성 언론들이 소극적이거나 외면했던 각종 의혹들을 적극적으로 파헤치고 특종을 보도하며 대중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이러한 대중의 관심은 나꼼수를 외면하던 기성 언론들까지 움직이게 했고, 결과적으로 팟캐스트라는 매체 자체에 대한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2012년 2월 리얼미터 조사 결과, 나꼼수 인지도는 56.4%에 달했으며, 이는 천만 명 이상의 잠재 청취자가 존재함을 시사했다. 이들의 팟캐스트 이용 경험은 다른 팟캐스트 콘텐츠로의 관심 확산 가능성을 높였다.[46]

6. 2. 부정적 평가


  • 허지웅은 2011년 10월 초 시사주간지 시사인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나는 꼼수다>와 김어준 팬덤이 종교적인 성향을 띠는 것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논란이 되었다.[47]

  • 진중권은 2011년 10월 30일, 나꼼수에서 나온 '눈 찢어진 아이' 발언에 대해 "너저분한 얘기"라며 "야담과 실화. 저열하고 비열한 공격. 언젠가 똑같이 당할 것. 무엇보다도 불필요한 공격, 도대체 뭘 위한건지"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주진우의 저질 폭로가 '팩트'라면 아무 문제 없다고 버젓이 말하는 저 정신상태가 황당하다"며 "한껏 들떠서 정신줄 놓고 막장까지 간 거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나꼼수 측이 제기한 이명박 정부 차원의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방해 의혹에 대해서도 정면으로 반박했다.[48][49]

  • 이택광 경희대 교수는 나꼼수가 영웅시되는 분위기에 대해 "지나친 오버"라고 평가하며, 프로그램이 딜레마에 빠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초기에는 위정자를 풍자하며 기존 언론이 다루지 못하는 부분을 건드리는 정치 코미디였으나, 점차 심각한 프로그램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나꼼수가 소수 정파의 선동 방송처럼 될 경우, 설득해야 할 40%의 부동층을 포용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50]

  • 중앙일보 논설위원 김진은 MBC 100분 토론에서 나꼼수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의 비율을 2:8에서 3:7 정도로 평가하며, "사실관계가 정확하고 비평의 대상이 편파적이어서는 안된다는 언론의 핵심요소가 결여됐다"고 비판했다. 특히 나꼼수가 제기한 선관위 디도스(DDoS) 공격의 내부 개입 의혹에 대해 "헌법 기관에 대해서 함부로 오도해도 되는가"라고 지적했다.[51]

  • 정봉주 전 의원의 서울 노원구 갑 출마가 불가능해지자, 민주통합당은 나꼼수의 다른 멤버인 김용민 시사평론가를 해당 지역구에 전략 공천했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지역구 세습'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52]

7. 자매판

8. 정치 문화에 대한 영향 (Political Culture)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삼남인 김홍걸은 2012년 1월 7일 대전에서 열린 민주통합당 이서령 지부장의 출판 및 자선 행사에서 '나는 꼼수다'에서 나온 농담을 인용했다. 그는 전 진행자였던 정봉주에 대한 형사 고발이 "이명박의 감옥 생활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는 '나는 꼼수다'의 주장을 언급하며 프로그램의 정치적 파급력을 보여주었다.[8][9]

9. 미디어 영향 (Media Impact)

2011년 4월에 시작하여 2011년 11월까지, ''나는 꼼수다''는 6백만 명이 내려받았다.[12]

참조

[1] 웹사이트 Popular South Korean podcast host sentenced to a year in jail http://latimesblogs.[...] 2016-09-17
[2] 뉴스 '용가리 통뼈 뉴스'와 '나는 꼼수다' http://www.mediaus.c[...] 2012-01-08
[3] 뉴스 By Lampooning Leaders, Talk Show Channels Young People's Anger https://www.nytimes.[...] 2012-01-08
[4] 뉴스 Korean political satire show catches global attention https://www.koreatim[...] 2012-01-08
[5] 뉴스 나꼼수가 선보인 MB 찬송가…'내곡동 가까이' 화제 http://news.khan.co.[...] 2012-01-08
[6] 웹사이트 [김어준의 파파이스#125] 김기춘뎐2, 악마보다 악마적 https://web.archive.[...] 2016-12-18
[7] Youtube 김어준의 뉴스공장 [16.12.16] 익명의 前 청와대 근무자, 정태인, 황교익 https://www.youtube.[...] 2016-12-18
[8] 뉴스 DJ 3남 김홍걸 "북 조문 가서 만난 김정은이..." http://www.dailian.c[...] 2012-01-08
[9] 뉴스 김대중 아들 김홍걸 ‘이명박 감옥 갈것 ’ 나꼼수 패러디 http://www.gocj.net/[...] 2012-01-08
[10] 뉴스 Army unit orders 'pro-N. Korea' apps be deleted, inspects individual phones http://english.yonha[...] 2012-02-08
[11] 뉴스 Army units cracking down on anti-Lee phone apps https://www.koreatim[...] 2012-02-08
[12] 뉴스 Edgy podcast re-ignites South Korean political activism https://www.reuters.[...] 2016-12-18
[13] 뉴스인용 '용가리 통뼈 뉴스'와 '나는 꼼수다'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12-01-23
[14] 뉴스인용 2040은 왜 ‘나꼼수’ ‘SNS’에 열광했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2-01-23
[15] 뉴스인용 ‘나꼼수’ 출판가서도 돌풍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11-24
[16] 뉴스인용 정전 사태는 '가카'의 꼼수다?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11-11-24
[17] 뉴스인용 김어준 “우린 종자가 달라…MB정권이 접해보지 못한 잡놈이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11-24
[18] 뉴스인용 ‘은밀한 지하방송’ <나는 꼼수다> http://newsmaker.kha[...] 주간경향 null
[19] 뉴스인용 각하 헌정 방송, 각하가 꼭 들었으면 좋겠다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2-02-16
[20] 뉴스인용 '나꼼수' 서버비용 최초 공개…1달에 2860만원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null
[21] 뉴스인용 ‘나꼼수’ 지속 가능할까 ‘무광고 원칙’ 고수 재정적 문제 심각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02-16
[22] 뉴스인용 '나꼼수' 출연 홍준표 어땠을까? "홍반장은 성공, 나경원은 글쎄…"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1-11-24
[23] 뉴스인용 나는 꼼수다 26회 김용옥 출연, "EBS 퇴출 관련 밝혔다" http://media.daum.ne[...] TV리포트 null
[24] 뉴스 정봉주 없는 ‘나꼼수’ 첫 방송, “더 독해졌다”? http://media.daum.ne[...] null
[25] 뉴스 나꼼수, 새해 첫 방송부터 '다스 의혹' 정면 제기 http://media.daum.ne[...] null
[26] 뉴스인용 나는꼼수다 봉주 6회-'10.26 부정선거 특집' http://www.ddanzi.co[...] 딴지일보 null
[27] 뉴스인용 나꼼수 봉주19회 요약 http://cafe.daum.net[...] 미권스 null
[28] 뉴스인용 나꼼수 봉주20회 요약 http://www.82cook.co[...] 82cook 2012-11-10
[29] 뉴스인용 나꼼수 봉주22회 요약 http://blog.naver.co[...] 나는 비영리다 블로그 null
[30] 뉴스인용 ‘나는 꼼수다’ 정부가 손본다? http://www.zdnet.co.[...] ZDNet Korea 2011-11-24
[31] 뉴스인용 “앱 심의 추진, ‘나꼼수’ 제거용 꼼수”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1-11-24
[32] 뉴스인용 모바일 앱ㆍSNS 심의 전담…조직개편안 확정 12월 시행 http://www.dt.co.kr/[...] 디지털 타임즈 2012-02-16
[33] 뉴스인용 ‘나는 꼼수다’ 진행자 4명 언론노조 민주언론상 수상 http://www.hani.co.k[...] 한겨레 null
[34] 뉴스 '나꼼수', 기존언론 제치고 '민주언론상' 차지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11-11-20
[35] 뉴스인용 By Lampooning Leaders, Talk Show Channels Young People’s Anger http://www.nytimes.c[...] 뉴욕타임즈 인터넷판 null
[36] 뉴스 알 자지라에서도 주목하는 '나는 꼼수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1-11-23
[37] 웹사이트 ‘나는 꼼수다’ 호외편, 아이튠즈 팟캐스트 북미 1위 기록 http://10.asiae.co.k[...] 2011-08-23
[38] 뉴스 "가카께서…" 시사풍자 대담 인터넷 방송 '나꼼수' 열풍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1-08-01
[39] 뉴스 나는 꼼수다 1위 소식에 손석희도 놀랐다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1-08-26
[40] 웹사이트 '뉴스타파' '나꼽살' '리셋KBS'… 팟캐스트 전성시대 http://weekly.hankoo[...] 2012-04-26
[41] 웹사이트 방통위, 시청률 조사·검증 기구 신설 http://www.etoday.co[...] 2012-02-22
[42] 웹사이트 MBN 개국 설문조사, 국민 73% "한국사회 꽉 닫혔다" http://news.mk.co.kr[...] 2011-12-01
[43] 웹사이트 '나꼼수' 김어준, 정봉주-주진우 덕에 살았다 http://www.ohmynews.[...] 2011-12-09
[44] 뉴스 언론인 “종편 부정적” 82%·“나꼼수 긍정적” 53%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01-10
[45] 웹사이트 입다문 주류에 거침없이 '반기' http://weekly.hankoo[...] 2012-04-27
[46] 웹사이트 1인 방송 시대, ‘팟캐스트’ http://www.bloter.ne[...] 2012-05-04
[47] 웹인용 내가 김어준을 비판하는 이유 http://www.sisainliv[...] 시사IN 2012-01-08
[48] 뉴스 진중권, 나꼼수 '눈 찢어진 아이' 발언에 "정신줄 놓고 막장" https://news.naver.c[...] 마이데일리 2011-10-30
[49] 뉴스 나꼼수에 정면으로 반박한 진중권의 글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12-02-06
[50] 뉴스 건드리면 '폭풍까임' '입진보' 낙인 - <나꼼수> 편가르기, 빨간불 들어왔다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2-01-03
[51] 뉴스 100분토론 나꼼수편, 김진-정청래 날선 공방 논란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11-12-14
[52] 뉴스 '지역구 세습 논란’ 정봉주 측 “모든 지역구는 언젠가는 세습. MB 심판하기도 바쁜데…”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2-03-15
[53] 웹사이트 나는 꼽사리다 등장 “정치 말고 경제에도 꼼수가 있다” 나꼼수 자매방송 http://media.daum.ne[...]
[54] 웹사이트 ‘나꼼수’ 문화예술 버전 ‘나는 딴따라다’ 나온다 http://media.daum.n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